커버스토리

옥상서 깍두기도 함께 담그고…1인 가구 삶에 반기든 청년들

시민 출자 청년 주택 ‘터무늬 있는 집’ 반년, 입주자 6명 삶의 질 나아지고 지역 활동 활발

등록 : 2018-10-18 15:31 수정 : 2018-10-19 14:27

크게 작게

시민 출자 청년 주택 ‘터무늬 있는 집’ 1호의 입주자들과 출자자들이 지난 1일 강북구 번동의 집 옥상에서 깍두기를 담그고 있다. (왼쪽부터) 박철우씨, 김선태씨, 김수동씨, 정명진씨, 이충희씨.

지난 1일 낮 강북구 번동의 한 다세대주택의 옥상. 청년 세 명(박철우·이충희·정명진)과 중년 신사 두 명(김선태·김수동)이 옹기종기 모여 깍두기 담그기에 한창이다. 이들은 시민 출자 청년 주택 ‘터무늬 있는 집’ 1호의 입주 청년과 출자자들이다. 터무늬 있는 집이라는 이름엔 청년들이 삶의 터를 마련한다는 뜻과 터무니없이 비싼 임대료와 ‘지·옥·고’(지하방·옥탑방·고시원) 등의 열악한 주거 환경을 바로잡았으면 하는 바람이 에둘러 담겨 있다.

청년들은 처음 담그는 깍두기지만, 온라인에서 만드는 법을 보고 제법 그럴싸하게 깍둑썰기한 무와 양념을 준비해놓았다. 김선태씨와 김수동씨가 무에 양념을 부어 버무리며 맛보라고 깍두기를 하나 집어 서로 입에 넣어준다. 김수동씨가 “아내가 보면 집에서는 안 하는데 밖에 나와서 한다고 타박하겠다”고 말하자 다 같이 큰 소리로 웃는다.

터무늬 있는 집은 시민 출자와 청년들의 공동 주거로 청년 주거 문제를 풀어가는 실험으로, 일종의 사업 모델이다. 사회투자지원재단에서 기금 운용의 전체 책임을 지고, 운영위원회와 부설 ‘터무늬제작소’가 사업을 진행한다.

재단 이사장은 김홍일 성공회 신부가 맡고 있다. 시민이 자발적으로 출자해 모인 기금을 전세 보증금으로 빌려주고, 지역 활동과 공동 주거를 하려는 청년들은 직접 구한 집을 보증금 없이 입주해 월 사용료를 내고 사는 방식이다.

터무늬 있는 집 1호에는 지난 4월부터 20~30대 남자 6명이 함께 살고 있다. 이들은 지역 활동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음악 활동을 하고, 분식집을 운영하거나, 유치원 아이들에게 체육을 가르치는 등 하는 일이 다양하다. 지역활동가인 박철우(28)씨 등이 전셋집을 구하고 있던 차에 터무늬 있는 집 운영위원의 권유로 사업에 참여했다. 집은 입주할 청년들이 동네의 집 15곳을 직접 둘러보고 골랐다.

현재 이들은 실평수 57.46㎡(17평)의 다세대주택에서 산다. 침실 2개에 세 명씩 자고, 작업실 방, 거실, 부엌, 화장실은 공동으로 쓴다. 전세 보증금(1억2천만원)은 15명의 개인과 5곳의 단체에서 출자해 마련했다. 입주 청년들은 보증금에 대해 연 4%의 사용료(월 40만원)를 나눠 내며, 1인당 주거비는 공과비 포함 10만원 수준이다.

입주 청년들은 이전의 생활과 견줘 삶의 질이 나아졌다고 입 모아 얘기한다. “이전 집에선 밥을 해 먹을 수 없을 정도로 공간이 좁았어요. 화장실은 계단 아래에 있어 구부리고 들어가야 했죠. 지금은 훨씬 살기 좋아요.” 지역 활동가들과 다세대주택 반지하 방에서 살았던 철우씨의 말이다.


“방, 거실, 부엌 공간 모두 넓어졌고, 베란다가 있어 햇빛도 들어오고 빨래도 널 수 있어요. 화장실도 깨끗하고, 옥상 공간도 활용할 수 있어요.” 옆에서 정명진(27)씨가 덧붙인다.

부모님 집에서 살다 지역 활동을 하면서 이곳에 온 이들은 공동생활을 경험할 수 있어 좋다고 한다. 이충희(21)씨는 “생활에서 서로 도움을 많이 받고, 외롭지 않아 좋다”고 한다. 공동 주거를 하면서 같이 운동하고, 밥을 먹으며 건강해졌단다. 운동은 집 옆에 있는 구민 운동장에서 한다. 축구, 족구, 배드민턴, 헬스 등 종목을 가리지 않는다.

‘따로 또 같이’ 청년의 삶

귀찮다가도 부추기면 같이 운동

혼자 있고 싶을 땐 ‘카페행’

‘터무늬 있는 집’ 1호의 거실. 정용일 기자

명진씨는 “귀찮아서 운동을 안 할까 하다가도 옆에서 하자고 부추겨서 가면 즐겁게 하게 된다”고 한다. 밥도 혼자 있을 때는 거르게 되는데, 같이 있으면 덜 바쁜 사람이 간단하게 차려 같이 먹는다. 명진씨는 “때론 나만의 시간을 갖고 싶어 카페에 가서 혼자 있기도 한다”고 덧붙인다.

불편하고 꺼내기 어려운 얘기는 날을 잡아 나눈다. 매달 한 번 밤 10시에 모여 자치회의를 연다. 입주 때 분담했던 집안일을 맡은 대로 제대로 하지 않는 게 단골 주제다. 충희씨는 “청소가 잘 안 되는 게 자주 얘기되지만 ‘절대’ 타박하지는 않고 잘하자고 좋게 얘기한다”고 말한다.

공과금 문제도 주요 논의 거리다. 이들은 공과금 2만원, 식비 1만원, 예비비 1만원을 매달 낸다. 올여름 전기료가 35만원이 나오면서 모두 멘붕에 빠졌다. 111년 만의 폭염에 중고 에어컨의 에너지 효율이 낮아 전기요금 폭탄을 맞은 거다. 그간 모은 예비비로 충당하기로 정했다.

공동 주거를 하며 지역 활동도 더 활발하게 한다. 철우씨, 명진씨, 충희씨는 지역활동가다. 이들은 지역 청소년 교육과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해 주민 소모임 활동을 지원한다. 터무늬 있는 집에 입주하기로 하면서 올해 초 로컬엔터테인먼트 협동조합을 만들었다. 6월에 설립 인가를 받았다. 지역의 잔치 때 공연도 하고, 필요한 행사 용품을 저렴하게 빌려주는 사업도 한다. 터무늬 있는 집의 옥상에서 비슷한 활동을 하는 청년들과 밥을 먹으며 얘기도 나눈다.

이들은 깍두기 담그기를 시작으로 하반기엔 그동안 미뤄왔던 자치 활동도 하려 한다. 철우씨는 “공동체 생활을 꿈꾸고 시작했지만 막상 지역 활동이 늘면서 바쁘고 지쳐 자치 활동은 거의 하지 못했다”고 아쉬워한다. 그래서 공동 주거 생활을 보여주는 유튜브 채널을 준비하고 있다. 터무늬 있는 집 유튜브 채널에는 평상 만들기, 요리하기, 장보기 등의 일상생활부터 지역 활동 모습도 담으려 한다. 집들이와 간담회 때 만났던 출자자들과의 교류도 이어간다.

터무늬 있는 집에서 청년들은 꿈을 만들어간다. 철우씨는 “각자 사정이 생길 수 있지만 지역에서 함께 일하며 살아가는 꿈을 꾼다”고 한다. 1호에서는 최장 4년간 살 수 있다. 입주 청년들은 그 뒤를 고민하면서 자신들도 힘닿는 대로 청년 주거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 싶어 한다. 이들이 사회투자지원재단과 함께 지난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청년 사회적 주택의 위탁관리를 맡아 터무늬있는 집 3호 운영에 나선 이유다.

이현숙 선임기자 hslee@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