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이 서울 도시계획시설 중 가장 큰 비중

면적기준 37%…공원과 도로(23%), 하천(15%), 학교(8%) 등 4개 시설이 전체의 83% 차지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여건 변화에 대응한 도시계획시설 역할 재정립 필요”

등록 : 2019-10-31 15:24

크게 작게

도시계획시설은 도시의 기능과 안전을 유지하고 주민생활에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도시계획시설의 종류와 분포는 인구 분포와 구조, 생활양식, 토지이용 등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런 여건이 변화하면 도시계획시설의 공급도 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서울의 경우 면적 기준으로 보면 공간시설(공원, 광장, 공공공지 등) 41.3%, 교통시설(자동차정류장, 주차장 등) 28.4%, 방재시설(유수지, 방수설비 등) 15.3%, 공공문화 체육시설(공공청사, 문화시설, 학교, 체육시설 등) 10.8%, 환경 기초 시설(폐기물 처리시설 등) 2.2%, 유통 및 공급시설(시장, 유통업무 설비, 방송통신 시설 등) 1.9%, 보건위생시설(종합의료 시설) 0.2%의 순으로 도시계획시설이 공급되어 있습니다.

이 중 공원(136.93㎢, 37%)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도로(85.6㎢, 23%), 하천(54.52㎢, 15%), 학교(30.42㎢, 8%)가 그 뒤를 이어, 이 4개 시설이 전체의 83%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시설의 정책과제’ 정책리포트는 저출생,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여건 변화에 따른 서울시 도시계획시설의 합리적인 공급·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작성되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기존 도시계획시설의 현황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 조직을 체계화해야 하며, 주민 접근성과 토지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생활 인프라는 시설의 기능 복합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변화 모니터링으로 기존 생활권과 같은 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인구·세대수 등이 일정 수준 이상 또는 이하로 변화가 생겼을 때 기존 도시계획시설과 주변 시설의 이용 실태, 기능 부합 여부 등을 점검해야 한다. 또, 여러 자치구에서 설치가 필요한 같은 종류의 시설을 모으거나, 한 개 자치구에서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이 필요한 비슷한 기능의 여러 시설을 모아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라고 정책을 제언합니다.

자료 : 서울연구원(서울시 여건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계획시설의 정책과제, 2019)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