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 10년 이상기후 대비체제로 전환

기고│이정화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

등록 : 2020-05-28 14:54

크게 작게

오늘날 기상 현상은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뛰어넘고 있다.

최근 세계 곳곳에서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형 자연재해와 피해 규모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그렇다면 한반도는 안전할까? 뜨거워진 한반도에서는 매년 국지성 집중호우가 갈수록 잦아지고 태풍, 홍수, 호우, 강풍 등 직간접적인 피해 또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홍수는 장마에 의한 하천 범람으로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단시간 집중호우로 인해 국지적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 30년 동안 연평균 3회 정도 발생한 돌발강우는 최근 5년간 연평균 6~7회로 횟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특히 예측이 어려운 돌발강우는 짧은 시간 많은 비가 내리기 때문에 하천 수위가 빠르게 상승하고 지하주택이나 저지대 도로가 일시적으로 침수되는 등 해마다 저지대 침수가 늘어 서울시는 매년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2010년 강남역 일대 침수, 2011년 광화문 도로 침수, 우면산 산사태 등 대규모 자연재해를 겪은 시민은 매년 불안한 마음으로 여름을 맞이한다. 이에 서울시는 급변하는 이상기후에 대비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했다.

우선 서울의 방재 성능(비가 왔을 때 처리 능력) 목표를 상향했다. 피해 당시, 5~10년의 강우 빈도였는데 이를 10~30년 빈도로 상향해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해 처리 용량도 늘리고 빗물 저류조도 신설했다. 아울러 하수관로를 개선하고 하천 단면도 확장하는 등 통수 능력 향상에도 집중했다.

한정된 재정 여건 속에서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한 방재 시설 확충사업은 어려운 과제였다. 고민 끝에 서울시는 풍수해에 가장 취약하고 시급한 34개 상습 침수구역을 먼저 선정하고 34개 침수 취약 지역 해소 사업을 추진했다.


여러 차례의 전문가 숙의, 현장 방문, 시민과의 대화·토론 과정을 거쳐 10년간 약 1조5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역 특성에 맞는 해소 사업을 2019년까지 27곳 완료했다. 2021년에는 34곳 모두 완료할 예정이다.

이정화(왼쪽 끝) 물순환안전국장이 금천구 박미빗물펌프장 확충 공사장에서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이밖에도 방재 성능이 부족한 빗물펌프장 29곳 증설, 빗물 저류조 6곳 신설, 하수관로 562㎞ 정비 등 9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방재 시설을 확충했다. 특히 주거 취약 지역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8만6천여 가구에 대해 물막이 판, 역류 방지시설 등 침수 방지 시설을 무료로 설치해 시민 모두가 풍수해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지난 10년간 꾸준히 노력해왔다.

올해는 2030년을 목표로 더욱 효과적인 투자를 위해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했으며, 돌발강우에 대비하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침수 예측 시스템과 침수 우려 지역 도로에 침수 센서도 설치·활용할 계획이다.

미래의 갑작스러운 자연재해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방재 시설 확충 이외에도 풀어야 할 숙제가 참 많다. 1960년만 해도 서울 대부분은 논밭이어서 자연적 증발과 침투로 처리되는 빗물이 많았으나 급격한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지표면에 불투수면이 증가함에 따라 침투와 하천 등을 통해 자연 배수되던 빗물이 하수관로를 통해 인공 배수돼 도심 범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좀더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서울형 물순환 도시 정책에 대해 고민하고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지속가능한 물순환 안전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2014년에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 개발 기본조례를 마련했고, 현재는 빗물 관리 녹색 인프라를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했다. 구체적으로는 시민과 함께 빗물마을 13곳 조성, 빗물관리시설 249곳 확충, 빗물저금통 1029곳을 설치해 빗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자연현상이기 때문에 대응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 때문에 사전 대비와 신속한 대응으로 풍수해 피해를 줄여가는 것이 최선의 방안일 것이다.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