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전에 대한 새 해석

<맞얽힘: 맞선 둘은 하나다>

등록 : 2021-11-25 15:04

크게 작게

동양고전과 과학을 연구하는 독립연구자인 지은이는 저서 <맞얽힘: 맞선 둘은 하나다>(이철 지음, 움직이는책 펴냄)에서 <주역>에서부터 주요 제자백가 사상에 이르기까지 고대 중국의 사상가들이 밝혀낸 이 세계의 생성 원리로 ‘맞얽힘’을 제시한다.

맞얽힘은 ‘맞선 둘은 하나다’라는 뜻이다. 이 작가는 맞얽힘 사상의 출발로 <주역>을 꼽는다. <주역>에서 음양을 중심으로 세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맞얽힘의 대표적 사례다. 음과 양은 서로 맞서 있지만, 하나로 연결된 존재이면서 또한 내부적으로 끊임없이 변화를 일으킨다.

지은이는 이런 맞얽힘의 대표적 법칙으로 ‘물극필반’을 꼽는다. 물극필반은 ‘사물의 변화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면으로 되돌아간다’는 뜻이다. 여기서 반면이란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맞얽힌 두 요소 중 하나를 뜻한다. 이에 따라 <주역>에서는 길흉의 경우 길의 변화가 극에 달하면 흉으로 바뀐다고 본다.

지은이는 이 ‘맞얽힘’ 사상이 노자, 공자, 손자, 장자, 중용, 대학 등 대표적인 제자백가 사상에도 이어져 있다고 분석한다. 가령 장자의 경우 서로 옳음을 주장하는 제자백가들의 논변에 대해 ‘옳음은 그름으로부터 비롯되고 그름은 옳음으로부터 비롯된다’고 말했다. 지은이는 이는 장자가 맞얽힘 사상에 조예가 깊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한다.

지은이는 이 맞얽힘 사상을 잘 연구하면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서도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왜냐하면 맞얽힘 사상 연구를 통해 물극필반에 이르지 않을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맞얽힘 사상을 통해 ‘길이 흉이 되지 않고, 계속 길한 상태가 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핵심은 인간의 행위다.

가령 지은이는 노자 사상을 재해석하면서 기후위기는 인간 욕망의 극한 추구로 인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인간 욕망이 극에 달하여 일어나는 물극필반 현상이 기후위기라고 본다.

이를 위해 지은이는 노자의 무위자연론을 맞얽힘 사상으로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런 재해석을 통해 무위자연론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해석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 진정한 의미는 ‘인간이 욕망을 채우지 않음’이라고 해석한다. 이렇게 인간의 미래 문제 해결은 ‘맞얽힘’ 등을 통한 철학적 변화가 중요하다고 지은이는 강조한다.


김보근 선임기자 tree21@hani.co.kr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맨위로